텍스트 파일로 저장하기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한/글은 한글 문서(*.hwp)뿐만 아니라 텍스트 문서(*.txt)로 저장합니다.

텍스트 파일 형식이란 일반적인 문자, 숫자, 그리고 각종 기호로만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 파일 형식으로, 이는 특수한 제어 문자나 그래픽 문자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 하기

  1.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실행합니다.
  2.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파일 형식] 목록에서 '텍스트 문서(*.txt)'를 선택합니다.
  3. [저장 위치]에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지정한 다음 [파일 이름] 입력 상자에 새로운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 단추를 누릅니다.
  4. [텍스트 문서 종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문자 코드 선택]에서 [기타 인코딩-한국(KS)]를 선택하고 [저장] 단추를 누릅니다.
  5. 지정한 이름으로 텍스트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자세한 정보

[텍스트 문서 종류] 대화 상자

문자 코드 선택

시스템의 기본 문자 코드 형식으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합니다.

전 세계 모든 글자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 코드로 파일을 2바이트로 저장합니다.

7비트 메일 시스템을 통한 전송을 위해 7비트 아스키 문자(ASCII)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영문이나 숫자 등은 1바이트로, 한글이나 한자는 3바이트로 파일을 저장합니다.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고 기존의 ASCII 체계와 호환됩니다.

맥(Mac)이나 자바(Java)에서 사용되는 16비트 유니코드로 앞뒤 바이트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파일을 저장합니다.

목록에서 텍스트 파일을 읽을 때의 코드 형식을 지정합니다.

선택한 값을 기본값으로 지정합니다.

이후부터는 텍스트 문서를 저장할 때 [텍스트 문서 종류] 대화 상자가 나타나지 않고 기본값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기본값 지정을 해제하려면 [도구-환경 설정-코드 형식]의 [텍스트 저장]에서 [판단 후 확인]을 선택합니다.

선택 사항

현재 편집 화면에 보이는 대로 문단의 줄바꿈을 유지합니다. 이 옵션 선택하고 저장한 문서를 메모장에서 열면 한글 프로그램의 편집 화면에서 보이는 그대로 문단의 줄바꿈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인코딩 형식

[텍스트 문서 종류] 대화 상자의 [문자 코드 선택-기타 인코딩] 목록에서는 '한국(KS), 한국(KSSM), 일본(SJIS), 간체(GB), 번체(BIG5), 북한(KPS)' 등 약 60개의 코드 형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텍스트 문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완성된 글자 하나하나에 코드값을 부여하기 때문에 코드값으로 배당되지 않은 글자는 쓸 수 없습니다. 한글로 표현할 수 있는 11,172자 중 21%인 2,350자만 코드값으로 배정되어 있습니다.

한글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코드값을 부여한 것으로 현대 한글이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글자 11,722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글 한 자를 표현하는 데에는 2바이트(16비트)가 사용되는데, 처음 1비트는 영어인지 한글인지 구분하는 데 쓰이고 나머지 15비트는 초성, 중성, 종성에 각각 5비트씩 할당됩니다.

확장된 일본 표준 코드입니다.

중국 표준 코드입니다.

대만 표준 코드입니다.

북한 표준 코드입니다.

관련 기능